특히 올해 강릉단오제의 큰 특징은 축제의 정체성을 담아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동시에 예술과의 콜라보, 친환경 축제로의 모색이 담겼다는데 의미가 있다.
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했던 지난해 경험에서 한발 더 나아가 천년을 잇는 강릉단오제 정신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여는 강릉단오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행사로 구성했다.
단오굿과 관노가면극 등 지정문화재는 실황중계하고 신주교환, 영산홍챌린지 등 13개 행사는 온라인을 비롯해 남대천 단오장과 명주예술마당에서 만날 수 있다.
또한 예술과의 콜라보로 남대천 단오장에 살대를 모티브로 한 오방색천 조형물을 설치하고, 소원이 모이는 소원등터널과 유등띄우기 공간 등을 조성했다. 명주예술마당에서는 강릉단오제의 이야기를 담은 미디어아트와 어린이들이 그린 호랑이를 만날 수 있는 '어흥, 대관령 호랑이' 전시회도 마련한다.

이와 함께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쌍방향 시민참여 프로그램도 이어진다. 강릉단오제의 공식 노래인 '영산홍'을 온라인 챌린지로 즐기고 상금도 받을 수 있는 '영산홍 챌린지'에는 시민들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.
단오 음식을 배달해주는 '배달의 단오'와 강릉사투리 고수들이 펼치는 '온라인 사투리대회도 축제의 재미를 더한다. 단오놀이단 단따라도 단오제기간 총 16회에 걸쳐 공연을 선보이며 찾아가는 포토존의 역할도 할 예정이다.
김동찬 강릉단오제위원장은 "비록 코로나 상황이지만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며 축제를 준비했다"며 "철저한 방역 지침에 따라 행사장을 운영할 예정이니 남대천 소망의 공간에서 모두의 안녕을 비는 시간도 의미 있을 것"이라고 전했다.